- 건설 근로자 긴급생활안정자금 200만원 무이자 지원 목차
코로나로 인해 일감이 끊겨 생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건설근로자분들을 지원하기 위해 건설근로자 긴급생활안정자금 대부사업을 시행한다고 합니다. 대부사업은 건설근로자공제회에 적립된 퇴직공제금 중 1000억원을 활용하게 되며 건설 근로자 공제회를 통해 시행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건설 근로자 긴급생활안정자금 지원대상은?
퇴직공제 적립일수가 252일 이상이면서 적립원금이 100만원 이상인 건설노동자는 본인 적립금액의 50% 범위에서 최대 200만 원까지 무이자로 대부할 수 있습니다.
건설근로자공제회로부터 목적자금을 대부받은 노동자 중 기존 대부금액이 본인 적립금의 50%를 초과한 노동자와 연체자는 제외된다고 합니다.
건설 근로자 긴급생활안정자금 대부신청 기간은?
4월 16일부터 8월 14일까지 약 4개월 동안 가능합니다.
건설 근로자 긴급생활안정자금 상환기간 및 방법은?
상환방법은 2년간 일시 분할 조기상환이 가능하며 상환만기일 경과 및 만기도래이전 퇴직시 퇴직공제 적립원금에서 상계하게 됩니다.
건설 근로자 긴급생활안정자금 무이자 대부 금액은?
1인당 200만원까지 무이자로 가능합니다.
건설 근로자 긴급생활안정자금 무이자 대부 신청방법은?
본인임을 확인할 수 있는 신분증을 가지고, 전국의 건설근로자공제회 지사 또는 센터를 방문하면 별도 구비서류 준비 없이 현장에서 접수할 수 있습니다.
7개 지사(서울·경기·인천·부산·대구·광주·대전), 8개 센터(구로·원주·의정부·창원·안동·전주·제주·청주)
< 건설근로자 긴급 생활안정자금 대부 사업 절차 > |
||||||
신 청 |
|
요건확인 |
|
연체확인 |
|
자금 지급 |
|
|
|
|
|||
건설근로자공제회 지사·센터 신청 접수 |
퇴직공제 적립일수 및 적립금액 확인 |
기존 공제회 대부사업 연체여부 확인 |
근로자 신청계좌로 5일 이내 지급 |
문의처 : 건설근로자공제회 대표번호(☎1666-1122)
지사·센터명 |
관할지역 및 주소 |
연락처 |
서울지사 |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 109, 국제빌딩 8층 ‣(관할) 서울특별시 17개 구 * 종로구, 중구, 용산구, 성동구, 광진구 동대문구, 중랑구, 성북구, 강북구, 도봉구, 노원구, 은평구, 서대문구, 마포구, 서초구, 송파구, 강동구 |
1666-1122 (내선 311) |
서울남부센터 |
‣(주소)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131, 1층 ‣(관할) 서울특별시 8개 구 * 강남구, 강서구, 관악구, 구로구, 금천구, 동작구, 양천구, 영등포구 |
1666-1122 (내선 315) |
원주센터 |
‣(주소) 강원도 원주시 시청로 2, 2층 ‣(관할) 강원도 |
1666-1122 (내선 343) |
경기지사 |
‣(주소)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권광로 199, 15층 ‣(관할) 경기도 19개 시/군 * 과천, 광명, 광주, 군포, 성남, 수원, 시흥, 안산, 안성, 안양, 양평, 여주, 오산, 용인, 의왕, 이천, 평택, 하남, 화성 |
1666-1122 (내선 313) |
의정부센터 |
‣(주소) 경기도 의정부시 시민로 62, 7층 ‣(관할) 경기도 10개 시/군 * 가평, 고양, 구리, 남양주, 동두천, 양주, 연천, 의정부, 포천, 파주 |
1666-1122 (내선 314) |
인천지사 |
‣(주소) 인천광역시 남동구 백범로 357, 13층 ‣(관할) 인천광역시, 경기도 2개 시(김포, 부천) |
1666-1122 (내선 321) |
부산지사 |
‣(주소) 부산광역시 동구 중앙대로 240, 7층 ‣(관할)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
1666-1122 (내선 323) |
창원센터 |
‣(주소)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중앙대로 257, 2층 ‣(관할) 경상남도 |
1666-1122 (내선 321) |
대구지사 |
‣(주소) 대구광역시 중구 달구벌대로 2058, 11층 ‣(관할)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12개 시/군 * 포항, 경주, 김천, 구미, 영천, 경산, 군위, 청도, 고령, 성주, 칠곡, 울릉 |
1666-1122 (내선 322) |
안동센터 |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경북대로 267, 1층 ‣(관할) 경상북도 11개 시/군 * 문경, 봉화, 상주, 안동, 영덕, 영양, 영주, 예천, 울진, 의성, 청송 |
1666-1122 (내선 324) |
광주지사 |
‣(주소) 광주광역시 서구 시청로 30, 삼성화재 광주상무사옥 7층 ‣(관할)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
1666-1122 (내선 331) |
전주센터 |
‣(주소)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백제대로 280, 2층 ‣(관할) 전라북도 |
1666-1122 (내선 332) |
제주센터 |
‣(주소)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전농로 118, 4층 ‣(관할) 제주특별자치도 |
1666-1122 (내선 333) |
대전지사 |
‣(주소) 대전광역시 서구 둔산북로 56, 한화생명빌딩 11층 ‣(관할)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남도 |
1666-1122 (내선 341) |
청주센터 |
‣(주소)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풍산로 50, 6층 ‣(관할) 충청북도 |
1666-1122 (내선 342) |
긴급재난지원금 소득하위70% 소득기준 건강보험료 확인 신청
긴급재난지원금 소득하위70% 소득기준 건강보험료 확인 신청
지난번 3차 비상경제회의에서 발표한 긴급재난지원금 100만원 지급과 관련하여 지급받는 소득기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소득하위 70%라는 지급기준을 발표하면서 막연한 추측들이 무성했는데요. 긴급재..
gamemer.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