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 도약계좌 가입 방법 조건 대상 혜택 (청년 희망적금 비교) 목차
청년 도약계좌의 혜택으로 최대 5745만원을 지원받는 목돈 1억모으기 상품이 출시됩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 대상, 조건, 혜택, 가입방법 등 궁금한 점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청년 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는 만 19세~34세의 근로 사업소득이 있는 청년들을 대상으로 하는 지원정책입니다. 소득에 따라 혜택이 다르지만 월 70만원씩 10년을 모으게 되면 연 3.5%의 금리를 지급하게 되며 약 1억원을 모을 수 있는 적금 상품입니다.
청년 도약계좌 가입 조건
- 만19세~34세의 근로사업소득이 있는 청년
- 소득에 따른 차등 지원
청년 도약계좌 지원 방식
청년 도약계좌는 연소득금액에 따라 지원되는 금액이 다릅니다.
연소득 2400만원 이하인 경우 매월 최대 30만원을 저축하면 정부에서 고정적으로 지원하는 20만원 + 저축액에 비례하여 지급하는 20만원을 더해 최대 70만원 납입이 가능합니다.
연소득 2400만원~3600만원은 가입자가 매월 최대 50만원 저축할 수 있고 정부가 고정적으로 지원하는 돈은 없이 저축액에 비례해하여 지급하는 돈 최대 20만원을 더해서 최대 70만원을 납입합니다.
연소득 3600~4800만원은 가입자가 60만원을 납입하면 정부가 저축액에 비례하여 10만원을 지원하며 최대 70만원을 납입합니다.
연소득 4800만원 이상인 경우 정부 재정지원 없이 비과세 혜택만 받을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혜택
매월 20만원을 받는 2400만원~3600만원 소득자는 10년간 2400만원을 정부로부터 받습니다. 그리고 이에 대한 이자 477만원까지 받아 총 2877만원을 받게 됩니다.
2400만원 이하 소득자는 최대 5754만원을 받습니다.
3600~4800만원 소득자는 1439만원의 혜택을 받습니다.
청년 도약계좌 중도인출
생애최초 주택 구입 또는 장기간 실직하거나 질병 등으로 인해 장기간 휴직하게 되는경우, 재해 피해를 입은 경우는 중도인출과 재가입을 할 수 있습니다.
청년 희망적금과 청년 도약계좌 비교
청년 희망적금은 2년간 매달 50만원을 납입하면 재정지원과 함께 비과세까지 1인당 최대 45만 6000원의 혜택을 받습니다.
[정부 지원사업] - 2022 청년 희망적금 신청 조건 방법 신청기간 혜택 정리
청년 도약계좌는 10년간 1억 만들기 통장으로 소득 수준에 따라 최대 5754만원까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청년 도약계좌 중복 지원 여부
청년도약계좌는 정부의 청년 자산형성 지원정책으로 다른 재정 지원책과 중복가입할 수 없습니다.
기존에 가입한 청년희망적금은 청년도약계좌로 갈아타는게 가능하도록 설계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청년 도약계좌 분석 기사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20311000368
청년 정부 지원금 정책 모음
청년 정부지원금 정책 모음입니다. 함께 알아두고 꼭 지원 받으면 좋겠습니다.
[정부 지원사업] - 청년 정부지원금 정책 모음 꼭보세요(청년내일저축계좌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