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값 금 1돈 시세

2025년 03월 03일 by 알림이1

    금값 금 1돈 시세 목차

2025년 금값 시세

금1돈 시세가 상당히 많이 올라서 이슈가 많이 되고 있네요. 

 

3.75g 시세

한국거래소 기준
3.75g (3.75g)
52만 1362원

 

이전 작성글입니다. 이때 샀으면 2배 이상 상승했을듯합니다. 60만원까지 올랐으니... 

 

금값이 요즘 상당히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비싼 몸값을 자랑하며 안정자산으로서의 가치를 높이고 있는 상황입니다. 

금값이 앞으로 어떻게 변화하게 될지 많은 관심이 몰리고 있는 상황입니다.

 

금 1돈?

흔히 금의 가격을 매길때 많이 사용하는 단위가 '돈' 입니다.

금 1돈이란 3.75g을 의미합니다. 

 

금 1돈의 가격?

매일 기준이 바뀌기 때문에 주목해서 봐야 하는 포인트입니다. 

 

작성일 기준으로 금값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 금액에서 실물거래시 부가가치세 10%는 별도입니다.

3.75g (1) 7.5g (2) 11.25g (3) 15g (4) 18.75g (5) 37.5g (10)
237,986.13 475,972.27 713,958.41 951,944.55 1,189,930.68 2,379,861.37

 

 

 

금값은 다음과 같이 계산기를 이용해 간편하게 계산해볼 수 도 있습니다.

금값계산하는곳

https://finance.naver.com/marketindex/goldDetail.nhn

 

 

금 24k 18k 14k?

24k = 순금함량(99.9%) 순금이라 합니다. 색이 누렇고 광이 많이 나지 않습니다.
        나이드신 분들께서 많이 하고 계시구요. 재테크로도 많이 이용되고 있습니다.


18k = 순금함량(75%) 여러연령대가 사용하는 금입니다. 

        14k 보다 순금함량이 높기 때문에 되팔때 좀 더 손실이 적습니다.


14k = 순금함량(58.5%) 10~30대 연령층에서 많이 이용합니다. 다른 금보다는 값이 싸기 때문이죠.

         되팔때에는 값이 아주 많이 떨어지기 때문에 되파는 용도보다는 장신구로 많이 활용합니다.

왜 금값에 주목을 해야하는가?

 

최근 경기침체와 코로나등 각종 이슈로 인해 앞날을 내다보기 힘든 상황입니다. 세계 곳곳에서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면서 세계적인 공황 우려까지 나오고 있는 상황입니다. 주가폭락, 오일값하락 등 여러가지 변수들이 곳곳에 산재해있기 때문에 안전자산이라고 전통적으로 여겨지는 금값이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최근 3개월간의 지표를 보면 12월 19일 최저치를 기록한 이래 지속적으로 꾸준히 상승하고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금값에 대해 많은 뉴스들도 나오고 있는 상황입니다.

안전자산에 자금이 몰리게 되면서 금값은 연일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국제유가까지 하락하게 되면서 실제로 안전자산으로 꼽힐 수 있는 것은 금 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세계각지에서 코로나로인해 경기가 위축되면서 경기부양을 위한 예산편성들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부분은 예정에 없던 돈들이 시장에 쏟아져나오게 된 다는 것으로 이는 화폐가치의 하락을 불러올 가능성이 높으며 이로인한 금값의 변화는 수요가 몰리면서 더욱 상승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올해에만 10%이상 상승하고 있으며 국내 KRX금시장 금 현물 1g당 가격은 올해에만 13.4%급등하고 있습니다.

거래대금 최근 역시 16%이상 증가하며 시장의 뜨거운 반응을 얻고 있는 상황입니다.

 

 

금값이 앞으로 얼마나 더 상승하게 될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그렇지만 금값의 변화는 투자자들에게는 주목받는 포인트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지난 금융위기때 금값은 사상최고치를 거듭해서 경신한바가 있습니다. 이번 코로나사태로 인한 금값의 변화도 역시 비슷한 흐름을 보일 가능성이 꽤 있다고 보여집니다.

 

-개인적인 사견입니다. 투자는 본인의 판단이 중요합니다.